10 천장 디자인












10.1 천정 Design Concept 


Execution 과정에서 천정 면과 구조의 간섭이 없는지 check함. 

천정에서의 전기설비요소와의 Coordination 을 사전에 검토할 것.


10.2. 설비 요소

  • sprinkler 위치/ diffuser 위치가 가장 중요한 이슈임.
  • 특히 설비의 방식에 따라서 line diffuser / 원형 diffuser 거리를 적절히 조절해야 .
  1. 교육동의 경우는 대부분의 공용공간의 깊이 및 너비가 16m, 12m 등인데 이렇게 대형 거실을 공조할때에는 보통의 룰은 4m 간격으로  취출구를 만들어서 Balancing Time을 줄여주는 것이 이상적임. 
  2. 그러나 line diffuser등을 배열할때 마감재 사이로 보여지는 것이 시각적 복잡함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의 간격을 멀리 배열하다보니 Balancing time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음.
  3. 이를 사용자들의 쾌적함을 위하여 diffuser간격 4m 로 함. 이에 따라 조명과의 배치 및 detail의 concept이 달라지게 되고 디자인을 완성시키기까지의 검토기간이 있었음.




10.3 전기 요소 

  • 제작조명일 경우와 기성품일 경우 : 공정 관계가 어떻게 되는가에 따라서 제작조명의 크기를 정확히 맞출 있는지가 결정된다
  • 조명디자인을 마감과 어떻게 끌고갈것인가를 미리 시공상세도에 표현해야 .







10.4 공사비 저감을 위하여 비주요실 천장마감

  • T-BAR 마이톤+조명+LINE DIFFUSER 5 mm 하는 디테일
  • 시공하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 절약





10.5 천정 디자인 Detail



  • 천정 마감재의 규격 - 천정 평활도와의 관계: 2000 이상이 되는 길이는 운반 및 설치면에서 불리할 수 있음. 평활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
  • 천정 마감재의 고정방법 :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 선을 보이고 싶은가 보이고 싶지 않은가의 여부에 따라서 여러가지 고정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음.
  1. T-bar concept
  1. M-bar concept 
  1. 피스 고정 concept/ 본드 고정 concept 
  • 전기 설비 요소때문에 선이 많이 보이는 detail은 선호하지 않음.
  • 선을 줄이기 위해서 전기 설비 요소의 배열에는 여러가지 option이 있으며 이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발주처와 협의하여 결정이 필요함.




10.6. 현대자동차의 경우 시공오류와 그로부터의 레슨 

  • 교육동의 경우에는 발주처로부터의 천정 디자인의 결정이 약 2~4개월 늦어졌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손실이 있었음.
  • 천정의 디자인의 배열 변경으로 2억이 더 나왔음.
  • 천장을 먼저 공사하지 못하고 바닥공사를 먼저 하다보니 Mortar 및 무근 콘크리트의 품질이 떨어졌음. 이를 올라타고 천정공사를 하다보니 다 깨내어서 재시공 하는 등의 2억의 손실을 보았음.
  • 이와 같은 디자인 결정 문제 및 시공 공정의 뒤바뀜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공기를 4개월 연장시켰음. 




Comments